감정이 격해졌습니다. 개혁신당에 합류해 최고위원으로 활동하던 김종민 의원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전두환이 나라가 어수선하니, 국보위를 만들어요기에 다 위임해 달라고 국회를 해산한 것. 김종민 의원이 이준석 대표를 전두환 전 대통령으로 빗대면서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다른 진영을 향한 것도 아니고 함께 하기로 했던 당내 인사에게 말입니다.
쪼개진 개혁신당
처음으로 돌아가 봅시다. 이준석 대표는 국민의힘 대표까지 지냈던 인물입니다. 하지만 당 징계를 받으면서, 사실상 쫓겨나듯이 당 대표직에서 물러났죠. 이후 그는 윤석열 대통령과 대립각을 세웠습니다. 그리고 자신과 함께 움직이던 ‘천아용인’에서 ‘천아인’(용의 김용태는 빠짐)과 개혁신당을 창당했죠. 제3지대를 표방하면서 말입니다. 거대 양당의 진영 싸움에서 벗어나, 정책과 이념으로 승부를 걸겠다는 겁니다. 이후, 민주당 출신의 양향자 의원과 손을 잡으면서 오렌지 색깔 개혁신당의 덩치를 키웠습니다. 그런데 제3지대로 나온 정치권 주요 인사는 또 있었습니다. 이낙연·김종민(새로운 미래) 이원욱·조응천(원칙과 상식) 금태섭·류호정(새로운 선택) 제3지대가 너무나 넓게 퍼졌습니다. 이들이 모두 선거에 나오게 되면, 표가 흩어지면서 양대 정당이 유리하게 되죠.
그래서일까요. 이들은 빅텐트를 결성합니다. 설 연휴 첫날에 ‘개혁신당’으로 모두 뭉치게 됩니다. 당명은 ‘개혁신당’ 그대로 가고요. 대표는 이준석과 이낙연이 공동으로 맡기로 했습니다. 사실상 다른 제3지대 인물이 이준석의 개혁신당에 흡수 통일하는 느낌이었습니다. 대신, 오는 4월 국회의원 선거를 지휘하는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은 이낙연 대표가 하기로 했죠.
당명 : 개혁신당
공동 대표 : 이준석·이낙연
총괄선거대책위원장 : 이낙연
최고위원 : 각 세력에서 1명씩
그런데 개혁신당의 지향점은 상당히 모호해졌습니다. 이름은 개혁신당으로 이준석 대표가 만든 정체성으로 모였는데요. 이를 구성하는 인원은 민주당과 정의당 출신이 다수를 이뤘기 때문입니다. 콜라 한 잔에, 사이다 한 병을 끼얹은 겁니다. 그렇다 보니 도대체 무엇을 지향하는 조직인지 헷갈리게 됩니다. 당연히 기존의 개혁신당을 지지했던 이들 사이에서도 이탈 현상이 생겨나죠. 그래서일까요. 줄곧 파격적인 공약을 꺼냈던 이준석 대표의 행보도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 노인 무임승차 폐지와 일부 직렬의 여성 공무원 병역 의무화 이후로 별다른 공약을 내놓지 못했죠. 아무래도 합의와 논의할 게 많아졌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점이 이준석 대표를 답답하게 만든 것으로 전해집니다.
국회의원 선거가 얼마나 남지 않은 시점에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고 판단한 거죠. 여기에 배복주 전 정의당 부대표의 입당이 문제로 지적됐습니다. 배복주 전 부대표는 전장연의 과격 시위를 옹호한 인물이라며 반발한 겁니다. 더군다나 이준석 대표는 배복주 전 부대표의 입당 사실 자체도 몰랐던 것으로 파악되죠. 이에 이준석 대표는 이낙연 대표 측에 다음 문제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➊총괄선거대책위가 만들어지기 전, 선거 전략 구상에 전권 부여
➋배복주 전 부대표 거취와 관련한 결단
그런데 이낙연 대표는 이를 받을 수 없었습니다. 이준석 대표가 합의를 지키지 않는다고 봤죠. 물론 총괄선거대책위가 아직 꾸려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총괄선거대책위를 이끈다는 것은 선거를 전반적으로 지휘한다는 것이라고 이낙연 대표 측은 이해했습니다. 그러니 ‘아직 총괄선거대책위가 꾸려지지 않았다고, 지금은 나에게 전권을 줘’라고 하는 것은 합의 정신에 위배된다고 본 겁니다. 하지만 지난 19일 개혁신당 최고위원회에서 이준석 대표에게 선거 관련 전권을 부여하는 안건이 의결됩니다. 그러자 김종민 의원이 ‘전두환’을 언급하면서 강하게 반발했고, 정면충돌하게 된 겁니다. 이에 대해 이준석 대표는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조응천·금태섭·양향자 등의 나머지 세력이 모두 동의해서 의결된 만큼, 문제가 아니라고 하죠. 하지만 이낙연 대표는 최고위에서 표결할 수 없는 내용이라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합당 합의 내용이라고 보기 때문이죠. 그리고 배복주 전 부대표에 대한 거취 문제도 마찬가지입니다. ‘아무리 싫다고 하더라도, 민주적 절차에 따라서 결정해야 한다’고 말하죠. 특히 이준석 대표 측이 ‘이낙연 대표가 배복주 전 부대표를 환영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공개 표방해 달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이에 이낙연 대표는 “그들이 특정인을 낙인찍고 미리부터 배제하려고 했다”라고 했습니다. 이렇게 갈등을 벌인 두 사람은 결별을 택했습니다. 깜짝 합당을 추진한 지 11일 만에 합당 파기 선언이 나왔죠. 이준석 대표는 개혁신당을 이끌어가고, 이낙연 대표는 새로운 미래로 복귀해 외연 확장에 집중할 계획입니다. 다만 민주당 출신의 금태섭·이원욱·조응천 의원은 개혁신당에 잔류하겠다는 입장이죠.
보조금 6억 향방
개혁신당은 현역의원 5명이 모이면서, 이미 약 6억 원의 보조금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이낙연 대표와 김종민 의원이 탈당했습니다.즉, 개혁신당에 현역의원은 4명으로 줄었죠. 현역의원 5명보다 적으면, 보조금이 수천만 원에 불과한데요. 현역의원 5명이 되면서 약 6억 원의 보조금을 받았죠. 그래서 이번 갈등에 비판이 나오는데요.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보조금 사기와 다를 바 없다"라고 꼬집었습니다. 그리고 이낙연 대표는 ‘기획’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그들은 통합을 깨거나 저를 지우기로 일찍부터 기획했던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죠. 그러다 보니 통합 시도에 대한 순수성을 의심받는데요. 이에 대해 이준석 대표 측은 보조금 6억 원을 반납하거나 기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미 지급된 보조금을 반납할 수 있는 근거가 없는데요. 이에, 기부할 것으로 보입니다.
끝맺으며